신규 노드는 스텔라 합의 참여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0점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파이 노드의 개체수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경쟁률도 높겠죠? 24시간 유지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쿼럼 슬라이스에서 배제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게 되면 노드는 켜놨지만 일을 안한게 되고 보너스를 받지 못하는 겁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점수가 올라가는건 쿼럼 슬라이스로 지명이 되었고, 점차 신뢰를 받아 참여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안정적인 그룹에 속하게 되어 점수가 점점 오르게 되는 구조로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오래된 노드에서 점수가 하락하는 원인도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내 쿼럼 슬라이스 노드 중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서 입니다. 이런 경우 빠르게 다른 노드로 대체되기 때문에 점수가 소폭 하락하는 정도로 끝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노드의 시스템의 문제가 생기거나 트랜잭션의 검증에 대량 실패하는 경우 기존의 쿼럼 슬라이스를 해체하고 새로운 쿼럼 슬라이스를 구성하게 됩니다. 이 경우 다른 쿼럼 슬라이스와의 쿼럼의 합의에 실패하게 되고 일을 한게 없으니 0점을 받을 수 있는겁니다. 안심해도 될것은 오래된 노드는 인기가 많아서 금방 탄탄한 쿼럼 슬라이스가 형성되고 점수를 회복하며 안정화도 빨리 되는 편입니다. 재설치의 경우에도 내 노드의 신뢰를 증명할 로그가 남아 있어서 가동률이 올라가면 금방 지명을 받게 됩니다.
'파이노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족한 메모리 관리 유틸 (0) | 2023.02.15 |
---|---|
비트코인 노드 현황 (0) | 2023.02.14 |
파이노드 WSL 2 메모리 리소스 부족으로 다운되어 주기적으로 재부팅 시 (3) | 2023.02.02 |
파이노드는 CPU의 코어, 쓰레드, 클럭이 가장 중요 (0) | 2023.01.20 |
파이노드 컴퓨터 사양(3차-22.6) (0) | 2023.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