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형 디지털 ID가 혁신의 중심에 서게 될 것"
분산형 디지털 ID 기술은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분산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신원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원 정보가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된다. 파이네트워크에서는 KYC(Know Your Customer) 를 위해 분산형 디지털 ID 기술을 활용한다. 사용자가 신원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정보를 검증하고 승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분산형 디지털 ID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KYC 프로세스를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다. 이는 파이네트워크의 KYC 인증이 그 어떤 거래소와 블록체인보다 까다롭고 아주 세심하게 개발되고 있는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성공적인 KYC를 수행하고 오픈메인넷이 완료되면 분산형 디지털 ID의 중심에 파이네트워크가 있을 것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흔히 퍼블릭 블록체인 자체를 웹3로 부르기도 한다.
중앙 집중식 중개자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이 직접 데이터와 자산을 읽거나 쓰고 소유까지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용자의 계정이 단일 기업의 서버에만 존재하는 웹2와 달리 웹3에선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계정 소유권을 기록한다. 개인은 계정에 접근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보유하기만 하면 된다.
즉 웹3에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새 계정과 암호를 영구적으로 생성할 필요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 지속될 수 있다.
갓샬크는 올해 웹3 생태계에서 분산형 디지털 ID가 혁신의 중심에 있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웹3 프로토 콜과 암호학적으로 증명 가능한 개인 소유권이 해당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분산형 ID를 사용하면 개인이 정보를 어디까지 공유할 지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성인임을 증명해야하는 경우 디지털 ID를 사용하면 공개하고 싶지 않은 주소와 같은 추가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도 내 신원 인증이 가능해 진다.
"블록체인은 인터넷의 진화된 버전이다.
하지만 인터넷 세상에선 너무 소수의 사람들이 그 데이터를 소유하고, 원치 않은 내 정보를 공유하게 되는 경우들이 생겼다. 이와 같은 중앙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다양한 프로토콜들이 등장했고 앞으로 더 나타날 것이다."
분산 ID (DID, Decentralized Identity) 개념을 좀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가. 분산 ID (Decentralized Identity)의 개념
- 분산원장 기반 사용자 스스로 신원 등에 대한 증명 관리, 신원정보 제출 범위 및 제출대상 통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탈 중앙화 신원관리 체계
나. 분산 ID의 발전 단계
![]() |
|||
중앙집중형 | 서비스 제공자 | SSO | 중앙관리 시스템에서 신원 관리 |
연방형 | 이용자가 선택한 연합 내 서비스 제공자 |
SAML 2.0 |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 간 신원 연합 관리 |
사용자 중심형 | 이용자가 선택한 신원관리 서비스 제공자 |
Open ID | 이용자가 제 3의 신원관리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여 신원 등록 및 확인 |
분산형 | 이용자 | 분산 ID | 이용자의 신원을 블록체인 분산원장에 공유하여 사용자가 직접 관리 |
다. 분산 ID의 특징
분산원장 기반 신원관리 | 공개키를 블록체인에 게시하는 분산형 PKI 방식 적용 |
개인정보 보호 강화 | 명시적 동의 없이 서비스제공자의 개인정보 활용 제한 가능 |
개인 ID를 개인에 귀속 | 사용자 기기에 저장된 자격증명(Credential)을 검증하여 신원 확인 |
라. 분산 ID 관리 구조 및 발급/검증 절차
![]() |
마. 분산 ID 기술요소
Verifiable Credentials | 물리적인 증명서와 동일한 역할로, 사진, 이름, 식별번호 등 증명 주제 관련 정보와 발행 기관, 증명 도출 증거, 만료일 정보 등 포함 | W3C |
DID Auth | DID 소유자가 사설 키 제어를 증명에 의해 인증 | DIF |
DKMS (Decentralized Key Management System) |
DIDs에서 필요한 사설키를 관리하기 위해 제안된 공개 표준 | OASIS |
DIDs (Decentralized IDentifiers) |
RFC 2141 URN (Uniform Resource Name, 통합자원 이름) 기반 Scheme:method:method-specific identifier로 구성 | W3C |
바. 분산 ID와 기존 신원 인증 비교
- |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 신원인증 | 중앙집중형 신원인증 |
특징 | 개인이 신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안전한 암호화된 디지털 허브 | 사이트에 이름과 비밀번호 계정을 만들고 두 당사자가 기밀성과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된 상태로서 식별 및 인증 수행 |
기술 | DIDs, DKMS, 디지털지갑, 블록체인, Agent, Hub 등 | SSL/TLS, SAML, Oauth, Open ID connect, XML, JSON 등 |
사례 | MS, DIF (Digital Identity Foundation), SOVRIN, Evernym | IBM NetBIOS, MS NTLM, 노벨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
기존 인증 체계와의 비교
구분 | 공인인증 | 블록체인 공동인증 | 분산 ID |
개요 |
|
|
|
신원정보 생성 및 등록 |
|
|
|
신원정보의 신뢰성 기반 |
|
|
|
신원정보 저장/관리 |
|
|
|
신원정보 이용형태 |
|
|
|
공동이용근거 |
|
|
|
예시 |
|
|
|
기사출처 : [컨센서스] 헤데라 상무 “분산형 ID가 블록체인 혁신의 중심” < 컨센서스 2023 < 비즈니스 < 기사본문 - 코인데스크코리아 (coindeskkorea.com)
'파이코인과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rbes, 최근 상장을 통해 Pi Network의 잠재력을 최고의 디지털 자산으로 인식 (0) | 2023.05.26 |
---|---|
파이 체크리스트 3번과 8번의 지갑주소가 다를 경우 (13) | 2023.05.06 |
파이 KYC 신청시 403 에러 조치방법 (0) | 2023.05.04 |
스텔라 Soroban Vs Ethereum 및 Solana 분석과 파이코인 영향 (0) | 2023.04.27 |
기본소득(UBI)이란 무엇이고 파이코인은 어떻게 UBI를 실현할 수 있을까? (0) | 202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