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체크리스트 3번과 8번의 지갑주소가 다를 경우

파이코인과 블록체인

파이 체크리스트 3번과 8번의 지갑주소가 다를 경우

다오(DAO) 2023. 5. 6. 02:51

체크리스트 8번까지 모두 완수 하였으나 메인넷 지갑에 코인이 들어오지 않거나, 체크리스트 3번에 입력한 지갑주소와 8번에 표시된 지갑주소가 서로 다를 경우 참조하세요

 

이 경우 보통은 코인이 들어 왔는지 무관심하여 모르고 있거나, 이무리 기다려도 코인 안들어온다고 울고 있을 것입니다.

위의 사항에 해당하시는 분은 니모닉 분실했거나 또는 잘 모르시고 지갑을 추가로 생성하신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3번 체크리스트에 입력한 지갑외 추가로 만든 다른 지갑의 니모닉을 7번 체크리스트에서 입력하신겁니다.

 

그 결과 7번에 입력한 니모닉에 해당하는 지갑 주소로 코인이 마이그래이션 되었으며, 그 지갑이 8번 체크리스트에 보이시는 겁니다.

 

결론은 8번 체크리스트에 보이는 지갑으로 로그인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마이그레이션 된 코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위 체크리스트의 상황을 예시로 보겠습니다.

8번 체크리스트에 보이는 지갑 조회해 보면 코인이 메인넷 지갑으로 들어온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락업 설정한 코인 1644개와  사용할 수 있는 코인 181개가 마이그레이션되었으나,

 

"이동"을 클릭하지 않아 181개는 아직 지갑에 보이지 않고, KYC 승인시 결재한 1개만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락업 외의 코인은 Balance 항목에 모두 표시되어야 됩니다. 1이 182로 표시되어야 정상입니다.

 

 

다행스럽게 8번 지갑의 니모닉을 찾아 재 로그인 했다면 당신은 천운이며, 다음 절차를 수행합니다.

 

진입한 지갑의 사용가능한 잔액을 완전히 불러오기 위해 아래의 ˚이동˚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동은 마이그레이션 후 14일 지나야 활성화 됩니다.

 

 

 

이동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아래와 같이 사용가능한 잔액이 표시됩니다.

 

이상태가 되면 181개는 고기 사먹으로 갈 수 있다는 겁니다. 쥑이지요..ㅋ

 

 

8번 체크리스트에 표시된 지갑주소를 조회해 보면 이젠 정상적으로 표시되네요..

 

 

여기까지 완수하여 코인을 찾으셨다면 하늘이 도우신 겁니다.

비밀구절 암호를 잃어버리거나 함부로 지갑을 추가 생성하시면 햇갈려서 문제가 됩니다.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기 사먹으면서 이상태로 가만히 두면 다음 2차 마이그레이션에서도 8번 체크리스트에 보이는 지갑주소로 코인이 계속 들어 올 것입니다.

 

쉬지말고 열심히 채굴하십시요.

 

그리고 KYC 안하신 분들은 고생하고 코인을 다 잃는 개구리 되지말고 빨리빨리 신청하세요..KYC 승인받지 못한 지갑은 쓰레기나 마찬가지 입니다.